본문 바로가기

728x90

분류 전체보기

(430)
AI - 8. Linear Regression 1. Linear Regression - 회기란 데이터들을 2차원 공간에 찍은 후 이들을 가장 잘 설명하는 직선이나 곡선을 찾는 문제라고 생각하면 된다. - f(x)를 fitting하는 것을 말한다. 선형의 경우 Linear, 비선형일 경우 non-linear등으로 부르기도 한다. - 입력값이 연속된 실수이고 출력값도 연속된 실수의 경우 활용이 쉽다. - 데이터의 경향이 fitting이 가능한 경우에 활용이 가능한 방법이다. - 예를 들면 부모의 키에 따른 자녀의 키, 면적에 따른 주택의 가격, 연령에 따른 실업률 등이 linear regression 문제에 해당한다. - 선형 함수를 예측할때 f(x) = Wx + b라고 하면 w를 가중치, b를 bias라고 한다. 결국은 선형 방정식을 찾는 것이다. 2..
DB - 11. E-R Model 2 1. Complex Attributes - attribute 하나로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 생길 수 있다. - 예를들면 아래처럼 name, address등의 속성이 세분화된 composite attributes로 구성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. - 아니면 multivalued attributes가 있을 수 있다. 예를들면 전화번호라는 속성은 집전화, 휴대전화 등 여러개의 다중값을 가질 수 있다. - derived attributes는 도출되는 속성을 말한다. 생일이라는 속성에서 나이를 꺼낼 수 있는데 나이가 도출된 속성이 된다. 다른 예로는 입사년월을 알면 근무기간을 도출할 수 있다. 근무기간을 도출된 속성이라고 한다. - 이러한 complex attribute를 표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. - phon..
CG - 11. shader programming 1. CPU, GPU - CPU는 복잡한 연산자를 지니고 있고 빠른 캐쉬를 사용하며 복잡한 프로그램을 잘 수행한다. - 반대로 GPU는 아주 작은 수천개의 ALU 코어들로 구성되어있다. 따라서 동일한 작업을 많은데이터에 병렬적으로 적용하고 싶을때 사용한다. - 옛날에는 왼쪽처럼 고정된 PIPE라인으로 VERTEX, fragment작업을 수행했지만 지금은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shader program을 직접 만들고 각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전하였다. 2. Vertex processor - 각각의 vertex마다 input을 받아서 output을 만들어낸다. - 색, 노멀벡터, 좌표, texture coord등 vertex마다의 데이터가 입력, input으로 주어진다. - 그 외에도 texture d..
컴퓨터통신 - 15. 이더넷(유선LAN) 1. 이더넷 개요 - LAN의 대명사로 수많은 기술들을 평정한 기술이다. - 2계층의 다중접근의 예이다. - 여러 노드가 하나의 bus를 공유하는 상황이고 저 공유하는 링크를 버스라고 한다. 이 모양을 버스 토폴로지 라고 한다. - 기술적으로는 CSMA/CD라고도 부른다. - CS : carrier sense : 반송 신호 감지 - MA : multiple access : 다중 접근 - CD : collision detection : 충돌 검출 - 여러 노드들이 하나의 버스를 같이 사용하다보면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. 이 충돌을 막는 방법이 매체접근제어 MAC기술이다. - 뒤에서 하나씩 다 배울 것이다 걱정말자. 2. 물리적 특성 - 이더넷은 버스 토폴로지로 구성된다. 케이블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re..
컴퓨터통신 - 14. Sliding Window 프로토콜 구현 2 1. 자료구조 - SWPHdr이 헤더의 실체이다. 하위 계층으로 data를 보낼때 붙이는 그 헤더이다. - 이 헤더가 두 node간의 peer to peer interface가 된다. - 헤더는 당연히 송신자의 경우는 SeqNum, 수신자의 경우에는 AckNum를 알고 있어야한다. - 보내는 header가 ack인지 data인지 type을 나타내는 flag를 사용한다. - 송신, 수신자의 역할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자료구조 형태이다. - SwpState 윗부분이 송신자, 아랫부분이 수신자를 위한 코드이다. - 송신자부터 살펴보면 sendQ에서 보낼 메시지와 타임아웃을 저장하고 있다. SWS크기만큼만 슬롯 공간이 있으면되기 때문에 크기가 정해진 원형큐로 구현되어있다. - semaphore는 운영체제에서 ..
컴퓨터통신 - 13. Sliding Window 프로토콜 구현 1 1. 프로토콜 구현 - 오류제어 이전까지는 NIC같은 어댑터에서 하드웨어로 구현하였다. - 오류제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다. - 송신자, 수신자의 서로 다른 쓰레드가 concurrent를 유지하면서도 distributed한 program으로 구현되어야 한다. 2. 슬라이딩윈도우(GoBackN) - 여러가지 파생 버전이 있지만 우리가 구현할 알고리즘을 먼저 정리하자. - 송신자가 Fi를 보내면 수신자는 Ack(i+1)을 보낸다고 하자. - 송신자는 복수개의 frame을 보냈다는 신호를 보낸다. - 수신자는 F2까지 받았으니 ack3을 보내서 F3번을 달라는 신호를 보낸다. 3. 송신자 알고리즘 - 각 프레임에 순서번호를 할당해야 하고 - 윈도우크기는 SWS로 상수로 정해준다. - 현재 윈도우의 시작과 끝을..
AI - 7. 머신러닝 개요 1. Pattern? - 얼굴, 지문, 글씨 등에 패턴이 존재한다. - 유사성을 갖는 특징, 속성들의 집합을 말한다. - 사람의 얼굴들에는 눈, 코, 입 등의 속성들로 이루어진 패턴들이 존재한다. 인종, 남성, 여성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지만 동일한 패턴의 범주에 존재한다. 2. 인식 - 패턴들로 부터 특징들을 꺼내고 최종 class로 구분하기 위한 분류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. - 예를들면 얼굴 사진으로부터 얼굴 크기, 코의 모양, 눈썹의 짙은 정도, 눈의 크기 등의 feature를 꺼내고 그 정도에 따라 알고있는 지식에 기반해서 "누구다"라는 결정을 내리게 된다. - 일반적인 인식의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 1. 데이터베이스 수집 2. 특징 설계 : 색상, 크기 등의 주요한 특징들을 fe..
영상처리 - 8. Labeling 연결된 동일한 region의 그림에 label을 붙이는 것을 말한다. 색으로 서로 다른 region의 drawing임을 표현할 수 있다. 픽셀값이 초록인 곳으로 dfs, bfs등의 알고리즘으로 탐색을 수행하면 된다. 위 예는 stack을 기반으로 dfs 탐색으로 초록 구역을 찾아낸 것이고 그 탐색 경로가 label[0]라는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다.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