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ComputerScience/Network

컴퓨터통신 - 24. 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

728x90

1. ICMP

-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

-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는 과정에서 이를 보조하기 위한 동작들이 필요하다. (예를들면 ack같이)

- 이상적으로는 데이터를 주고받으면 되지만 이를 보조하기 위해 icmp가 있다.

- ip를 고안할때 이 두  가지를 분리해서 만들었다 이를 out of band기법이라고 한다.

- 어차피 ip는 비신뢰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굳이 icmp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.

- icmp가 제어하는 작업 내용을 살펴보자.

- ping을 통해 icmp에게 echo라는 메세지를 보내도록하고 응답을 받아서 인터넷 연결을 확인한다. echo라는 메시지는 ip를 통해 전달된다.

- 목적지 호스트가 꺼져있어 목적지에 도달하는게 불가능한 경우, TTL이 초과된 경우, 체크섬이 실패해서 오류가 발생한 비트를 버린 경우, 단편화할 수 없는 경우, 재조립이 실패한 경우를 ICMP가 알려준다.

- 위 예시처럼 ttl이 0이되어 ip packet이 중간에 버려지면 icmp메시지로 sender에게 이유를 알려준다.

- sender가 어떤 패킷이 버려졌는지 구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버려지는 패킷의 앞부분을 icmp 메시지에 붙여서 보낸다.

- icmp 메시지는 ip로 전달된다.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