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이동성(Mobility) 지원
- 무선랜에서 이동하면서 계속 통신을 네트워크가 지원하는가를 말한다.
- AP-1과 통신하던 C가 D로 이동하게되면 AP-2라는 새로운 기지국에 가입해서 통신을 이어간다.
- 여기서 중요한건 C는 이동 전에 AP-1과 통신을 했었는데 C가 D로 이동하면 AP-1으로 들어오던 데이터를 AP-2를 거쳐서 받게 된다는 것이다.(data forward)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Distribution system이다.
- distribution system이 있으면 당연히 좋지만 없더라도 인터넷은 나름의 이동성을 수행하기는 한다. 뒤에 무선랜 스위치에서 공부한다. 이미 2, 3 계층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때문이다.
2. 이동감지(BSS접속/가입)
- 통신 노드가 이동할때 움직임을 어떻게 감지할까?
- 무선랜은 AP가 주기적으로 자기와 통신할 사람들에게 자신을 홍보한다. 이를 Beacon이라고 한다. 자기와 통신하려면 어떻게 해야하고 등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로 뿌린다. (AP가 주기적으로 beacon frame을 전송)
- 만약 노드가 자기와 연결하던 ap의 beacon을 못듣는다면? 노드가 그 AP의 cell을 벗어났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ap가 고장이 난 것이다.
- 이렇게 이동을 감지하게 되면 이제 새로운 AP를 찾아서 통신을 이어가야 한다. scanning으로 ap선정작업을 한다.
- 이동하고 있는 노드가 probe frame을 브로드캐스트 한다.
- probe frame을 받은 AP들은 probeResponse frame을 보내서 응답한다. (암호, 속도는 얼마고 등등)
- 이동 노드가 매뉴얼, 자체 알고리즘으로 새로운 ap를 선택하고 associate Request frame을 보낸다.
- 선택된 ap가 associateResponse frame을 보내면서 새로운 기지국으로의 가입이 완료된다.
- 새로운 ap가 이전 ap에게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가입내용을 통보해준다. 그러면 이전ap로 도착한 데이터들을 전달 받을 수 있게된다. distribution system이 있다면 이 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를 data forward라고 한다.
'ComputerScience >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퓨터통신 - 19. 브리지 (0) | 2021.11.22 |
---|---|
컴퓨터통신 - 18. 패킷 스위칭 (0) | 2021.11.22 |
컴퓨터통신 - 17. 무선랜 매체 접근 제어 (0) | 2021.11.10 |
컴퓨터통신 - 16. 토큰링, 무선랜 (0) | 2021.11.10 |
컴퓨터통신 - 15. 이더넷(유선LAN) (0) | 2021.11.03 |